한국 영화산업 시장규모 2년째 감소 극장 매출 소폭 증가, 여전히 2019년 대비 30.5% 수준
[맥스무비= 위성주 기자] 영화진흥위원회가 2021년 한국 영화산업의 주요 부문별 시장 동향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2021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보고서를 발표했다.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전체 극장 매출액은 5845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5% 증가했다. 전체 관객 수는 6053만 명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다. 코로나 19의 직격탄을 맞았던 2020년보다는 소폭 증가한 추세다. 그러나 코로나 19 팬데믹 전 2019년과 비교해보면 극장 매출액은 여전히 2019년 매출의 30.5% 수준에 머물렀다.
특히 2021년에는 한국영화 관객 점유율 우위 역시 깨졌다. 전체 극장 매출 가운데 한국영화 매출이 차지하는 비율은 29.7%에 그친 반면, 외국영화 매출 점유율은 70.3%까지 증가했다. 우리나라 인구 1인당 연평균 극장 관람횟수 역시 1.17회에 머물렀다. 2020년 1.15회에 비해 늘었지만, 2019년 4.37회에 비하면 3.2회나 감소한 수치다.
극장 매출액 기준 2021년 박스오피스 1위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이하 스파이더맨)으로, 매출액 557억 원, 관객 수 556만 명을 기록했다. 2022년 수치는 포함되지 않았다. 2위는 ‘모가디슈’로 매출액 346억 원, 관객 수 361만명을 기록했다. ‘모가디슈’는 2021년 박스오피스 탑5 내 유일한 한국영화다. 3위는 ‘이터널스’, 4위는 ‘블랙 위도우’가 차지했으며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가 5위다. 이 외 2021년 박스오피스 탑10 중 또 다른 한국영화는 ‘싱크홀’ 뿐이다.
배급사별 관객 점유율은 디즈니가 24.3%로 1위, 소니가 13.9%로 2위를 달성했다. 3위는 롯데엔터테인먼트로 9.0%를 기록했으며, 2003년 이후 3위 밖으로 벗어난 적 없던 CJENM은 6.9%를 기록해 6위에 머물렀다. 이는 CJENM이 배급을 결정한 텐트폴 영화들이 개봉을 무기한 연기한 탓이 크다. 뮤지컬 영화 ‘영웅’ 등은 지난 2020년부터 개봉을 준비했지만 여전히 어느 시점에 개봉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한국 영화 기대작들이 개봉을 연기함에 따라 영화산업 규모 역시 꾸준히 감소했다. 극장 매출은 소폭 증가했지만, 극장 외 매출 및 해외 수출 역시 감소 추세다. 결국 2021년 한국 영화산업 시장 규모는 1조 239억원에 불과해 2년째 감소세를 보였다. 2019년 2조 5093억원에 비하면 절반도 채 되지 못한다.
영진위는 한국 상업영화 추정수익률이 -47.3%를 기록할 것이라 예상하기도 했다. 2001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역대 최저치다. 순제작비 규모별로는 100억 원 이상~ 150억 원 미만 구간의 수익률이 1.4%로 가장 높았고, 모든 구간 중 유일하게 흑자를 기록했다. 손익분기점(BEP)을 상회한 작품은 3편으로, 전체 17.6%에 불과하다. 한편 2021년 개봉한 순제작비 30억원 이상 상업영화는 17편으로, 2020년 29편보다 58.6% 감소했다.
2021년 독립예술영화 개봉편수는 450편으로 전년 대비 26.4% 증가했으나, 2021년 전체 독립예술영화 관객 수는 423만 명으로 전년 대비 9.2% 감소했다. 반면 한국 독립예술영화 관객 수는 전년 대비 63.5% 증가한 124만 명이었다. 전체 독립예술영화 관객 중 한국 독립예술영화 관객이 차지하는 비중은 29.3%였다. 한국 독립예술영화 관객 수와 매출액은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여전히 코로나19 발발 이전인 2019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 maxpress@maxmovie.com
<저작권자(c) 맥스무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