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수 선배 칭찬 덕에 현장에서 춤 춰” “소년범죄 바라보는 시각 달라져”
[맥스무비= 맥스무비취재팀 기자] 넷플릭스 시리즈 ‘소년심판’은 강렬했다. 소년법에 대한 누적되어왔던 대중들의 분노는 그 강렬함과 만나 작품에 대한 관심을 더했다. 허나 강렬함과 분노 사이에서 오롯하고 진중하게 차분함을 발하는 캐릭터가 있었다. 배우 김무열이 연기한 차태주 판사다. 모두가 격한 감정을 내뿜고 있던 작품 속에서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는 인물을 연기한 김무열. 그는 차태주를 어떻게 바라보며 작품에 임했을까.

넷플릭스 시리즈 ‘소년심판’(연출 홍종찬, 극본 김민석)은 소년범을 혐오하는 판사 심은석(김혜수)이 지방법원 소년부에 부임하면서 마주하게 되는 소년범죄와 그들을 담당하는 판사들의 이야기를 그렸다. 김무열은 극 중 소년범에 대해 엄중한 신념을 가진 심은석과 반대에 서서 소년범에게 기회를 주고자 하는 차태주 판사를 연기했다.
‘소년심판’에 출연하게 된 계기가 궁금하다. 평소 소년범죄에 관심을 갖고 있었다고
= 특별한 계기가 있지는 않다. 다만 시나리오를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 흉학한 범죄자가 단지 미성년자라는 이유로 경미한 처벌을 받았다고 들었을 때 많은 분노와 함께 했었다. 그러나 지금 생각해보면 그저 아무것도 모르고 분노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은 되레 참 부끄럽다. 나름 사회가 갖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는 입장이라 여겼는데, 실상 전혀 그러지 못했던 것이다. ‘소년심판’ 덕분에 내 이해를 조금 더 넓힐 수 있었다.
실제 사건에서 모티브를 삼은 이야기가 많았다. ‘소년심판’은 여러 시각 가운데 균형 잡힌 태도를 밀고 나가며 호평을 받고 있는데, 연기자의 입장에서는 어떠했는지 궁금하다
= 워낙 민감한 소재고, 많은 의견이 있는 이야기라 접근하는데 있어 많은 신중함을 기해야 했다. 소년범죄에 연루됐던 이들의 입장, 피해자와 가족의 입장, 법관들의 입장, 어떻게 범죄가 일어났고, 사후관리는 어떻게 되는지, 궁극적으로는 소년범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 고민하게 됐다.
다행이 우리 작품을 봐준 분들께서 작품의 장점으로 ‘균형 잡힌 시각’을 말씀해주신다. 이 어려운 문제를 조심스레 말씀드리는 입장에서 참 감사하다. 또 하나 감사하고 싶은 지점은 소년범죄를 대하는 네 판사의 태도를 통해 다른 입장이 보이는데 이에 대해서 많이들 공감해주신다는 것이다. 그만큼 많은 분들이 소년범죄에 관심을 갖고 계셨다는 증거였던 것 같다. 이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인지하게 된 사람으로서 이에 깊이 감사드린다.

비록 연기일지라도 법복을 입는다는 것은 상당한 책임감을 요구했을 것 같다. 작품의 진정성을 위해 더욱 잘 해내야 한다는 부담 역시 있었겠다. 압박감을 잘 이겨낼 수 있었던 방법이 있다면 무엇인가
= 맞다. 법복을 입는다는 것의 책임감은 상상 그 이상이었다. 이 작품을 통해 그것을 알게 됐다. 사실 나는 인터뷰나 공적인 자리에 설 때는 긴장해도 단순히 연기할 때는 잘 긴장하지 않는다. 그런데 재판하는 연기를 그렇게 떨리더라. 그런 긴장감을 정말 오랜만에 느꼈다. 그건 아마 내가 처음 소년 재판을 참관했을 때, 법정 안에서 느꼈던 공기의 무게가 뇌리에 깊숙이 박혔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하나의 결정이 한 인간의 일생을 좌우한다는 것을 봤다.
물론 머리로는 전부터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해하는 것과 체험은 전혀 다른 영역이지 않나. 그래서인지 법복의 무게가 정말 무거웠다. 연기를 하면서도 잘 하고 있는 것인지 내 안의 의구심이 생기기도 했다. 이를 이겨낼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선배들의 격려와 칭찬 덕이었다. 특히 김혜수 선배의 무한한 칭찬이 힘이 많이 됐다. 촬영 시작부터 끝나는 날까지 모든 것을 칭찬 해주셨다. 덕분에 힘이 난다 정도가 아니라, 항상 선배 앞에서 춤을 추게 됐다. 내가 준비한 것 이상의 모든 것을 다 해볼 수 있었고,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번 선배께 감사 드리고 싶다.
여러 감정이 격하게 오고 가는 와중 차태주 판사는 다른 이들의 비해 차분함과 신중함이 엿보인다. 어쩌면 현실적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인물의 내면이 충분히 보여지는지에 대해 배우 입장에서 충분히 불안했을 것 같은데. 차태주를 연기하는 포인트가 있다면 무엇이었나
= 방금 말한 재판장에서의 무거운 공기와 신중함이 씨앗이 돼 자라난다면 차태주가 되는 것 같다. 그에게는 어두운 과거가 있고 과거와 현재의 격차는 매우 크다. 그 격차를 메우면서 올라온 이의 이면에는 매우 무거운 신념이 있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일부러 힘주어 이야기하지 않아도 충분히 자신의 강력한 소신을 드러낼 수 있다고 여겼다.
물론 이에 대해서 나 역시 중간중간 과연 이 길이 맞는지 고민했다. 감정표현이 뚜렷하지 않아 나의 진심과 캐릭터의 마음이 온전히 시청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지 걱정했다. 그래서 이성민 선배에게 캐릭터의 방향성을 물었는데, 감정을 분출하는 것은 자신이 하고 있고, 나는 작품의 균형을 잘 맞춰주고 있다며 되레 칭찬하더라. 밀고 나가라고 해주셨다. 그것이 끝까지 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

현실에 기반한 이야기고 캐릭터다 보니 인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차태주를 연기하며 생각에 변화가 있었다면 무엇인가
= 아무래도 소년범죄를 바라보는 시각 자체가 달라졌다. 사실 나는 작품을 통해서 세상을 배워간다고 여긴다. 내게 있어 연기는 이 세상을 조금씩 알아가는 수단 중 하나다. 단순히 분노의 대상으로 바라봤던 소년범죄가 얼마나 우리 사회의 복합적 문제와 연관돼 있는지, 교육과 아이들의 문제뿐만 아니라 법제에 대해 우리가 얼마나 무관심 했는지에 대해 많이 고민했다. 소년들이 범죄에 노출되지 않도록 우리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가, 잘못을 저지르는 것에 대해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 것인가. 우리가 분명히 바라보고, 고민해야 할 부분들에 대해서 차태주가 이야기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소년심판’이 많은 고민을 안긴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여전히 소년범죄에 대한 문제는 쉽사리 진척되는 느낌이 없다. 그만큼 어려운 문제인 이유일 터다. ‘소년심판’이 우리 사회에 어떤 메시지로 자리잡길 바라나
= 우리는 질문을 던졌을 뿐이다. 이런 문제가 있다고 넌지시 이야기를 전했을 뿐이다. 어떤 메시지로 자리잡는지에 대해서는 함께 해준 시청자들 한 명 한 명 안에서 다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저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줬다는 것 자체가 감사하다. 이 작품을 작업하면서, 촬영을 마치면서, 완성된 작품을 볼 때 까지도, 명확한 답을 내릴 수 없었다. 그래서 이 작품을 여러분께 보여드리는 것이기도 하다. 더 많은 분들이 우리의 고민에 함께 해주시길 바란다. 그것이 이 어려운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는 힘이 될 수 있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 maxpress@maxmovie.com
<저작권자(c) 맥스무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