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규

 

217,385관객 동원
 1924-05-12 출생ㅣ한국ㅣ피아골 (1955) 데뷔
스무 살 때 <살구꽃>이라는 연극으로 데뷔한 이래, 근 10년이 넘는 세월을 연극배우로 활약하다 1954년 이강천 감독에게 발탁되어 그의 대표작 <피아골>에 주인공으로 출연, 영화의 길로 들어섰다. 이후 <오발탄>,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벙어리 삼룡이> 등 흥행과 작품성을 겸비한 작품들에서 기량을 발휘했고, 평생 4번의 대종상, 5번의 청룡영화상을 수상하며 최고 배우의 지위를 누렸다. 1967년 영화 <종자돈>으로 연출을 겸하기도 했으며, 한국배우협회 회장, 영화인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대한민국 영화발전에 이바지했다. 1998년 골수암으로 75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 <하녀 (재개봉)> 보도자료 중에서-

부드럽고 어진 장년의 모습으로 인기를 모았던 김진규는 1960년대의 한국영화 전성기를 왕성하게 활동한 영화배우였다. 1924년 5월 12일 충남 서천군에서 김형우씨의 4남 2녀 중 둘째로 태어난 김진규는 불안정한 소년시절을 겪었다. 그러다가 대전중학 3학년 때, 일본인 혼다 세이주로(本田淸十郞)을 알게 되고, 그의 양자로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하여 오오이따껜 농업전문 학교에 입학하여 2년 과정을 마치고 도망치듯 한국으로 귀국한다. 조선연애주식회사 연구생으로부터 시작하여, 그가 처음 무대에 선 것은 동양극장에서 상연한 <살구꽃>이란 연극이었다. 그러다가 해방을 맞이하며 장동휘 등과 극단 <장미>를 조직하고 연극 생활을 하게 됐다. 고난을 면치 못했던 연극 생활 도중 이강천 감독으로부터 <피아골>(1954)의 출연 제의를 받고, 드디어 영화계에 데뷔를 하게 된다. <피아골>의 출연을 계기로 <포화 속의 십자가>(1956)와 <옥단춘>(1956)에 출연하게 됐는데, 이후 <동심초>(1959)와 <아빠 안녕>(1960)의 히트로 순탄한 인기가도를 달리게 되며, 멜로드라마의 스타로 자리를 굳히게 된다. 또한 김기영 감독의 <하녀>(1960)에서는 독특한 연기를 펼치며 주목을 받게 된다. 그러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를 분기점으로 깊어진 그의 내면 연기는 한국영화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즉 <오발탄>(1961), <고려장>(1963), <벙어리 삼룡이>(1964), <잉여인간>(1964), <카인의 후예>(1969), <불꽃>(1975), <삼포가는 길>(1975)로 이어지는데, 또한 다수의 연기상을 수상하면서 주목을 끌었다. 그것은 기본적인 성격 표현의 차원에서 한 걸음 더 나가 내면적 연기의 폭을 다지는 새로운 인물 창조의 과정이었다. 1997년 10월 21일 그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
더보기
1924-05-12 출생한국피아골 (1955) 데뷔
스무 살 때 <살구꽃>이라는 연극으로 데뷔한 이래, 근 10년이 넘는 세월을 연극배우로 활약하다 1954년 이강천 감독에게 발탁되어 그의 대표작 <피아골>에 주인공으로 출연, 영화의 길로 들어섰다. 이후 <오발탄>,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벙어리 삼룡이> 등 흥행과 작품성을 겸비한 작품들에서 기량을 발휘했고, 평생 4번의 대종상, 5번의 청룡영화상을 수상하며 최고 배우의 지위를 누렸다. 1967년 영화 <종자돈>으로 연출을 겸하기도 했으며, 한국배우협회 회장, 영화인협회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대한민국 영화발전에 이바지했다. 1998년 골수암으로 75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 <하녀 (재개봉)> 보도자료 중에서-

부드럽고 어진 장년의 모습으로 인기를 모았던 김진규는 1960년대의 한국영화 전성기를 왕성하게 활동한 영화배우였다. 1924년 5월 12일 충남 서천군에서 김형우씨의 4남 2녀 중 둘째로 태어난 김진규는 불안정한 소년시절을 겪었다. 그러다가 대전중학 3학년 때, 일본인 혼다 세이주로(本田淸十郞)을 알게 되고, 그의 양자로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하여 오오이따껜 농업전문 학교에 입학하여 2년 과정을 마치고 도망치듯 한국으로 귀국한다. 조선연애주식회사 연구생으로부터 시작하여, 그가 처음 무대에 선 것은 동양극장에서 상연한 <살구꽃>이란 연극이었다. 그러다가 해방을 맞이하며 장동휘 등과 극단 <장미>를 조직하고 연극 생활을 하게 됐다. 고난을 면치 못했던 연극 생활 도중 이강천 감독으로부터 <피아골>(1954)의 출연 제의를 받고, 드디어 영화계에 데뷔를 하게 된다. <피아골>의 출연을 계기로 <포화 속의 십자가>(1956)와 <옥단춘>(1956)에 출연하게 됐는데, 이후 <동심초>(1959)와 <아빠 안녕>(1960)의 히트로 순탄한 인기가도를 달리게 되며, 멜로드라마의 스타로 자리를 굳히게 된다. 또한 김기영 감독의 <하녀>(1960)에서는 독특한 연기를 펼치며 주목을 받게 된다. 그러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를 분기점으로 깊어진 그의 내면 연기는 한국영화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즉 <오발탄>(1961), <고려장>(1963), <벙어리 삼룡이>(1964), <잉여인간>(1964), <카인의 후예>(1969), <불꽃>(1975), <삼포가는 길>(1975)로 이어지는데, 또한 다수의 연기상을 수상하면서 주목을 끌었다. 그것은 기본적인 성격 표현의 차원에서 한 걸음 더 나가 내면적 연기의 폭을 다지는 새로운 인물 창조의 과정이었다. 1997년 10월 21일 그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
더보기
1975
1967
1960
1955
미정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12안길 36 3층 ㈜미디어윤슬
대표전화 02-2039-2293 | 팩스 02-2039-2925
제호 맥스무비닷컴 | 등록번호 서울 아02730 | 등록일 2013년 7월11일
발행·편집인 윤여수 | 청소년보호책임자 이해리
Copyright ⓒ MediaYunseul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