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 AM.> 보도자료 중에서-
박정희를 시발로 현재에 이르는 대한민국 우익 멘털리티에 대한 ‘근현대사 아카이브’ <뻑큐멘터리-박통진리교>로 한국독립단편영화제(현 서울독립영화제) 우수작품상을 받으며 영화를 시작했다. 다음 해 한국사회의 획일화된 풍경과 이상한 애국심에 대해 질문하는 <그들만의 월드컵>에 이어 <히치하이킹>으로 ‘대한민국 영화대상 단편영화상’을 수상했고, 사랑에 대한 자전적 다큐 <에로틱 번뇌 보이>를 연출하며 ‘스타 독립영화 감독’으로 주목 받았다. 그만의 독특한 감수성을 십분 발휘, 상업 영화 <다세포소녀>의 시나리오를 썼고, 최근에는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저수지의 개들 take1. 남한강>과 극실험영화 <이상,한가역반응>을 연출하는 등, 다양한 장르를 오가며 세계와 영화, 그리고 ‘나’에 대해 꾸준히 질문 중이다. < Jam Docu 강정>에서는 항공모함 프라모델에 열중하는 ‘소년 최진성’의 또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Jam Docu 강정> 보도자료 중에서-
2001년부터 다큐멘터리와 단편 극영화 작업을 이어 오며 국내외 영화제에서 주목받았던 최진성 감독은 2004년 <히치하이킹>으로 대한민국 영화대상 단편영화상 수상, 2011년 <이상, 한가역반응>으로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대상, 시네마디지털서울 버터플라이부문 버터플라이상을 수상하는 등 개성넘치는 연출력을 인정받았다. 수상내역 2011년 제5회 시네마디지털서울 버터플라이부문 버터플라이상 2006년 이탈리아 튜린 퀴어영화제 최우수작품상 (김추자) 2005년 리옹아시안영화제 기자단이 뽑은 최우수영화상 3위 (김추자) 2004년 대한민국 영화대상 단편영화상 (히치하이킹) 2004년 부산국제영화제 영산펀드 (에로틱 번뇌보이) 2004년 대구단편영화제 우수상 (히치하이킹) 2003년 도쿄 비디오 페스티발 가작 (누구를 위하여 총을 울리나) 2002년 올해의 독립영화상 (그들만의 월드컵) 2001년 한국독립단편영화제 우수작품상 (뻑큐멘터리 - 박통진리교)-< I AM.> 보도자료 중에서-
박정희를 시발로 현재에 이르는 대한민국 우익 멘털리티에 대한 ‘근현대사 아카이브’ <뻑큐멘터리-박통진리교>로 한국독립단편영화제(현 서울독립영화제) 우수작품상을 받으며 영화를 시작했다. 다음 해 한국사회의 획일화된 풍경과 이상한 애국심에 대해 질문하는 <그들만의 월드컵>에 이어 <히치하이킹>으로 ‘대한민국 영화대상 단편영화상’을 수상했고, 사랑에 대한 자전적 다큐 <에로틱 번뇌 보이>를 연출하며 ‘스타 독립영화 감독’으로 주목 받았다. 그만의 독특한 감수성을 십분 발휘, 상업 영화 <다세포소녀>의 시나리오를 썼고, 최근에는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저수지의 개들 take1. 남한강>과 극실험영화 <이상,한가역반응>을 연출하는 등, 다양한 장르를 오가며 세계와 영화, 그리고 ‘나’에 대해 꾸준히 질문 중이다. < Jam Docu 강정>에서는 항공모함 프라모델에 열중하는 ‘소년 최진성’의 또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Jam Docu 강정> 보도자료 중에서-
2001년부터 다큐멘터리와 단편 극영화 작업을 이어 오며 국내외 영화제에서 주목받았던 최진성 감독은 2004년 <히치하이킹>으로 대한민국 영화대상 단편영화상 수상, 2011년 <이상, 한가역반응>으로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대상, 시네마디지털서울 버터플라이부문 버터플라이상을 수상하는 등 개성넘치는 연출력을 인정받았다. 수상내역 2011년 제5회 시네마디지털서울 버터플라이부문 버터플라이상 2006년 이탈리아 튜린 퀴어영화제 최우수작품상 (김추자) 2005년 리옹아시안영화제 기자단이 뽑은 최우수영화상 3위 (김추자) 2004년 대한민국 영화대상 단편영화상 (히치하이킹) 2004년 부산국제영화제 영산펀드 (에로틱 번뇌보이) 2004년 대구단편영화제 우수상 (히치하이킹) 2003년 도쿄 비디오 페스티발 가작 (누구를 위하여 총을 울리나) 2002년 올해의 독립영화상 (그들만의 월드컵) 2001년 한국독립단편영화제 우수작품상 (뻑큐멘터리 - 박통진리교)